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수법이 갈수록 지능화되고 교묘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김태원 한나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6년 5월 보이스피싱이 처음 확인된 이래 올해 6월말까지 2만9440건이 발생했다. 현재까지 피해액만 무려 2953억원에 달하는 등 심각한 수준이다.
연간 5888건, 한달 491건씩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경찰에 신고 되지 않은 경우를 감안하면 그 피해는 훨씬 클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가장 많은 8164건(피해액 861억원) 발생했다. 이어 경기 5241건(521억원), 인천 2659건(222억원), 부산 2446건(228억원), 경남 1776건(167억원) 등의 순이다.
김 의원은 "국내외에서 걸려오는 사기전화를 받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지만 정부의 대책은 스스로 알아서 조심하라는 게 고작"이라며 "경찰의 후속조치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과거에는 모르는 국제전화 번호가 뜨면 곧 보이스피싱이라는 것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 보이스피싱 사기는 국내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경찰서나 금감원, 검찰청의 실제번호를 발신번호로 띄우는 수법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실제로 근무 중인 현직 경찰관의 이름까지 파악해 사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김 의원은 "도둑이 설치면 집단속은 1차적으로 개인의 책임이지만 도둑이 날뛰지 못하도록 사회적 치안환경을 만드는 건 경찰의 책무"라며 "중국과의 공조수사를 강화하고 인터넷 전화라도 국제전화 발신표시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감독원 등 유관단체와 합동으로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BC뉴스 김기철 기자 press@cbci.co.kr
<반응이쎈 ⓒ CBC뉴스 (http://cbc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