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BC뉴스] 대기업 총수들의 움직임이 주목을 끌고 있다.
현대차그룹 경영진이 지난 22일 LG그룹 경영진들과 전기차용 배터리 부문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현대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과 LG그룹 구광모 대표가 LG화학 오창 공장에서 만나 악수를 나눴다.
한국을 대표하는 두 그룹의 총수들의 회동은 '미래 공유'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날 회동이 눈길을 끈 것은 정 수석 부회장이 지난달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의 만남을 가진 데 이어 한달 만에 구 회장을 찾았기 때문이다.
당시 재계 1,2위 총수인 두 사람의 만남은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부회장과 정 부회장은 13일 삼성SDI 충남 천안사업장에서 만나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현황과 향후 사업전략을 공유했다는 것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차세대 전기차의 핵심이라고 한다. 삼성SDI 천안사업장은 자동차용 배터리와 소형 배터리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라인이다.
방문한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LG화학이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장수명(Long-Life) 배터리와 리튬-황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미래 배터리의 기술과 개발 방향성을 공유했다.
양 그룹 경영진은 미래 배터리 관심사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LG화학 오창공장의 배터리 생산 라인과 선행 개발 현장을 둘러봤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기아차는 세계 최고 성능의 전기차에 필요한 최적화된 배터리 성능 구현을 위해 연관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면서 "이번 방문은 향후 전기차 전용 모델에 탑재될 차세대 고성능 배터리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 배터리에 대한 개발 방향성을 공유하기 위한 차원이다"고 말했다.
LG그룹 관계자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LG화학은 장수명 배터리와 리튬-황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미래 배터리 분야에서도 게임 체인저가 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양사간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는 2025년 전기차 56만대를 판매해 수소전기차 포함 세계 3위권 업체로 올라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아차는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을 지난해 2.1%에서 2025년 6.6%까지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