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길 의원 페이스북 캡처. [반응이 센 CBC뉴스ㅣCBCNEWS]](/news/photo/202303/439137_246221_1326.png)
[CBC뉴스] 안병길 의원 측에 따르면 최근 미 국가안보 당국자들은 미군도 많이 이용하는 항구들에 다수 배치된 중국 상하이전화중공업(ZPMC)크레인에 화물 출처, 목적지 등을 추적할 수 있는 정교한 센서가 부착되어 있어 스파이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트로이의 목마’에 비유한 바 있다.
또 안의원 측은 지난 3월 5일 미국 고위 방첩 관료 출신인 빌 에바니나는 “크레인은 제2의 ‘화웨이(중국 장비업체)’가 될 수 있다”면서 항만 크레인 사업을 “비밀 정보 수집을 감출 수 있는 합법적인 사업”으로 묘사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미국 내 일부 항구는 ZPMC 크레인 소프트웨어를 타 국적의 소프트웨어로 교체했고 카를로스 히메네스 미 하원의원은 향후 중국산 크레인 구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중국산 크레인과 관련해 제기되고 있는 안보 위협 문제는 한국도 예외는 아니라는 것이다.
안병길 국민의힘 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10개 항구에서 운용되고 있는 809개의 크레인 중 427개가 ZPMC 크레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전했다. 이는 절반이 넘는 52.8%에 달하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각 항구별 ZPMC 크레인 의존 비율을 보면 국내 최대의 무역항인 부산항이 55.4%였다고 한다. 평택항 75.0% ,인천항 68.1% ,울산항 62.5%였고 대부분을 ZPMC 크레인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사실상 중국산 크레인없이는 국내 모든 항구의 무역이 마비될 우려가 있는 상황이라는 주장이다.
자료에 따르면 미 의회는 지난해 12월 국방수권법(NDAA)을 통과시키며 ‘해외에서 제조된 크레인이 미국 항구의 사이버 안보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올해 연말까지 만들라’고 교통부에 요구한 데 비해 한국 정치권에서는 관련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안병길 의원은 “국가 기반 시설인 항구는 그 어떤 곳 보다 철저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만큼, 작은 안보 우려도 명백하게 검증되어야 한다.”라며 “국내 항구에 설치된 모든 크레인들을 대상으로 보안성을 점검하는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한번에 끝 - 단박제보
▶'내 스타'에 투표하세요 '네티즌 어워즈'
CBC뉴스ㅣCBCNEWS 심우일 기자 press@cbc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