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진 기자] 무더위가 유난히 기승을 부린 올 해이다. 그래서 그런지 추석의 의미가 예년과는 다르게 다가온다. 추석이 되면 차례를 지내는데 예법에 맞는 차례상 차리기와 지방쓰는 법, 차례 지내는 법에 대한 궁금증도 증폭하고 있다. 서로 자신의 가문의 것을 내세우면서 맞다고 하지만 표준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표준적인 사안을 점검해야 할 것 같다.
지방을 잘 쓰려면
지방이란 차례를 지낼 때 붙여놓거나 세워놓는 종이를 말한다. 명절차례상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하는 절차이다. 즉 신주를 모시지 않은 집안에서 제사나 차례를 지낼 때 종이에 써서 정성을 바치는 것이다.
지방은 오른쪽에는 현비나 현조비 현증조비 현고조비 등을 쓰고 왼쪽에는 현고나 현조고 현증조고 현고조고 등을 쓴다.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 모두 다르다. 지방에는 차례나 제사 지낼 대상의 이름이을 적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공통적으로 쓰는 것은 신위라는 단어이다. 지방은 폭이 6센티 정도 길이는 22센티 정도이다. 직사각형 모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꼭 한자가 아닌 한글로 적어도 무방하다.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고 적는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추석 차례상을 올리 때 위치는 지방이 있는 쪽인 곳을 중심으로 한다. 신위가 놓인 곳이 북쪽이라고한다, 북쪽에 놓는 이유는 북쪽이 가장 높은 위치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즉 음양오행에서 물 수를 뜻하는 북쪽은 상석을 뜻하기도 한다. 자손들이 조상에 대한 공경의 예를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사 지내는 사람(제주, 祭主)라고 한다. 제주의 편에서 차례상을 바라보았을 때 신위의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이 된다.
차례 상차림에도 법도가 있고 제사에 놓은 음식들도 놓아야 할 위치가 있다. 예를 들어 생선을 놓을 때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해야 한다는데 이를 두동미서(頭東尾西)라고도 한다. 머리를 동쪽에 두는 이유는 동쪽이 소생을 뜻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꼬리쪽은 서쪽을 향하는데 해가 지는 곳이 서쪽이라는 점에서 소멸을 뜻한다는 것이다. 차례상차림은 갯수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음양오행의 법도를 따라야 한다.
차례상은 1열에는 식사류와 밥과국을 놓는다. 2열에는 육전 육적 어전 구이 등을 놓고 3열에는 육탕 어탕 등 탕종류를 놓는다. 4열은 포나 식혜등을 놓는다. 5열은 과일이나 과자 등을 놓는다.
차례 상차림은 총 5열이 기본이지만 더 놓을 수도 있다. 각각의 열은 과거의 조상들이 먹어왔던 음식을 순서대로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과일과 나물을 앞쪽으로 배치하고 전류나 밥은 뒤쪽에 배치하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색깔도 차례상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조동율서 홍동백서라고 해서 과일의 위치도 색깔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조동율서 (棗東栗西)는 제사상을 차릴 때 대추는 동쪽에 밤은 서쪽에 놓는다는 말이다. 홍동백서(紅東白西)는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는 뜻이다.
▮ CBC뉴스ㅣCBCNEWS 김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