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우 대표 “우리 사회가 디지털 자산 어떻게 포용하고 성장시키느냐는 것”
업계 관계자 “산업 육성 초점 맞춘 업권법 제정에도 속도내야”
'시장 진흥을 위해 제도화는 필수'
![이석우 두나무 대표. 사진=CBC뉴스 DB. [단박에 - CBC뉴스 | CBCNEWS]](/news/photo/202305/440766_248343_4258.jpg)
[CBC뉴스] 최근 코인 업계에 다양한 사안이 발생하면서 암호화폐 제도화 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주 특히 쟁점이 된 것은 제도화 미비에 대한 지적이었다. 그간 제도화에 대해 강조를 한 대표적인 CEO는 국내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고 있는 이석우 두나무 대표였다.
국내 코인 생태계 전반의 발전을 염두에 둔 의견이었다. 600만 명이 넘는 투자자가 보호받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피력한 것이기도 했다. 이 대표의 이런 의견 피력은 오늘날 발생하는 일련의 사태들을 감안한다면 매우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두나무의 대표이사를 하면서 정부와 국회 등을 찾아다녔지만 ‘룰’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안 됐다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올해 3월 DCON2023(디지털자산 컨퍼런스) 당시에는 “이제 우리에게 남은 숙제는 디지털자산 산업을 우리 사회가 어떻게 포용하고 성장시키느냐는 것”이라며 제도화에 대한 중요성을 피력하기도 했다.
글로벌 코인 생태계가 저만치 앞서가는데 국내 코인 생태계만 제도화가 지연되고 있는 것이 시대착오적일 수 있다는 의견이었다.
최근 예측하지 못한 사안들로 인해 법제화가 가속화됐지만 이같은 움직임은 코인 업계에는 유의미한 한걸음이 될 것 같다.
‘두드리면 열린다’는 말처럼 이석우 대표의 주장은 현 제도화 논의의 초석이 됐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업계에서는 더 나아가 산업 육성을 위한 업권법 제정에도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코인 생태계를 위한 넥스트 스텝은 ‘시장 진흥’이라고 할 수 있겠다.
코인 업계 한 관계자는 “투자자보호를 위한 규제와 제도 마련은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제언해온 사안이고 특금법 이후 가상자산이 제도권으로 한 발 더 들어가게 된 고무적인 일이라 생각한다. 이와 동시에 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춘 업권법 제정에도 속도가 붙길 바란다. 가상자산은 이미 새로운 산업의 한 축으로 떠올랐기 때문에 규제만 해서는 글로벌 산업에서 뒤쳐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석우 대표의 언급처럼 한 단계 더 발전된 제도화가 새로운 산업의 한축이 되기 위한 '필요 충분 조건'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한번에 끝 - 단박제보
▶'내 스타'에 투표하세요 '네티즌 어워즈'
CBC뉴스ㅣCBCNEWS 권오성 기자 kos@cbc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