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 로고. [단박에 - CBC뉴스 | CBCNEWS]](/news/photo/202306/441091_248635_1344.jpg)
[CBC뉴스] 금융과 비금융 분야가 상호 융합하면서 산업 간의 경계가 흐려지는 ‘빅 블러(big blur)’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한다.
디지털화에 따라 IT와 금융의 융합, 산업자본의 은행업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경계를 지우고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 서비스들이 등장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올해 2월 금융당국에 의해 토큰증권(ST)이 합법화되면서 다양한 업체들에게 혁신의 기회가 열렸다는 것이다.
토큰증권이란 실물 자산을 바탕으로 발행된 증권을 말하며, 블록체인 분산원장 기술을 통해 자본시장법상 거의 모든 자산을 증권화할 수 있어 성장 가능성이 무한한 곳으로 점쳐지기 때문이다.
이로써 부동산과 미술품 등과 같은 유형자산은 물론, 저작권과 지식재산권과 같은 무형자산까지 기존의 경계를 뛰어넘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금융위원회는 오는 2024년 말까지 토큰증권(STO)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단계적인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중으로 토큰증권(STO) 제도화를 위한 전자증권법·자본시장법 개정법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전자증권법에서 분산원장을 수용하는 토큰증권 발행을 허용하고, 발행인 계좌관리기관을 신설하도록 하는 것이 개정안의 요지라고 한다.
빅 블러 시대 토큰증권 합법화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은 바로 조각투자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부동산, 미술품, 선박 등 개별 투자가 어려웠던 고가의 실물자산들이 투자시장으로 편입되면서 다양한 수요를 창출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라는 주장이다.
그 가운데 이미 시장에서 두각을 보인 선발 업체들은 키 플레이어로서 기존의 경계를 뛰어넘은 시장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다고 한다.
부동산은 자산에 대한 감정평가, 장기적 안정성 등으로 가장 대표적인 조각투자 품목이며, 가장 먼저 제도권 진입을 시도한 영역이다.
소유는 MZ세대들에게 핫한 F&B 매장, 청년 창업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간을 공모해 소액 투자만으로도 투자자들에게 상시 할인, 바우처, 굿즈 등 건물주로서의 혜택과 경험을 제공한다.
지난해 서울의 ‘안국 다운타우너’, ‘이태원 새비지가든’과 대전의 ‘대전 창업스페이스’를 공모 청약을 모두 완판에 성공했으며, 최근 4호 공모 ‘문래 공차’를 조기 완판 시키며 존재감을 이어 나갔다.
소유의 배당 구조가 가진 가장 큰 특징은 투자자 – 소비자 – 건물주, 점주의 경계를 허물어 선순환 및 상생의 효과를 낳는다는 것이다.
뮤직카우는 일반 개인도 음악 저작권에 투자할 수 있는 시장을 개척했다.
뮤직카우는 저작권으로부터 발생되는 금전적인 권리를 권리자로부터 양도받아 투자자가 직접 가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옥션(경매)을 통해 공개한다. 지난해 11월 금융당국이 음악 저작권료 청구권도 증권으로 인정하고 뮤직카우에 대해 자본시장법상 제재를 면제하면서 제도권으로 편입됐다.
국내 아트테크 플랫폼의 선발주자인 아트투게더는 2018년부터 고가의 미술품에 대한 분할소유권을 1만원의 조각 단위로 구매할 수 있는 공동구매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작품들이 판매, 매각되는 순환 과정에서 데이터를 모아 음지에서 거래되는 ‘히든 프라이스’의 문제를 해결하고 신인 등용의 업계 선순환을 꾀하고자 한다.
한편 최근 NH투자증권 ‘STO비전그룹’의 참여사로서 토큰증권이 자본시장법상 '증권'으로서 요건을 제대로 갖추기 위한 준비사항, 투자자 보호 체계 마련 등 조각투자사업자들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부분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이러한 구조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아트투게더는 카카오의 AI아티스트 칼로와 함께 온라인 경매를 진행하고, 경매시장의 블루칩 작가 에드가 플랜스의 작품에 대한 공동구매 모집했다.
현물 조각투자 플랫폼 ‘피스’를 운영하는 바이셀스탠다드 역시 다양한 경계를 허물며 적극적인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피스는 다양한 현물자산의 소유권을 조각처럼 나눠 공동구매한 후, 조각 소유 비율에 따라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는 국내 최초의 현물자산 조각투자 플랫폼이다.
▶한번에 끝 - 단박제보
▶'내 스타'에 투표하세요 '네티즌 어워즈'
CBC뉴스ㅣCBCNEWS 심우일 기자 press@cbci.co.kr